Skip to Content
기본 설명자주 묻는 질문

자주 묻는 질문

엔터를 누르면 두 칸씩 줄바꿈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요약: Shift + Enter를 누르면 단락 내 줄바꿈이 가능합니다. 이 조작이 불편하다면 수동 줄바꿈 설정을 참고하세요.

단락 기반 시스템

뮤블은 블록 기반 에디터예요. 대부분의 에디터와 같이 문서 자체가 하나의 단위가 아닌, 뮤블에서 ‘단락’이라고 불리는 블록 단위로 구성돼요. 같은 개념으로 구성된 에디터로는 Notion 이 있고, Microsoft Word나 Adobe Indesign 같은 툴에서도 비슷하게 단락 단위로 글을 작성하고, 단락 간격 서식을 통해 가독성을 조절해요. 이 에디터들도 Enter(블록 생성)과 Shift + Enter(블록 내 줄바꿈)로 구분돼죠?

그래서 뮤블의 소설 문서는 단순히 텍스트가 아니라, 각 단락이 정보적 의미를 가지는 구조화된 문서예요. 각 블록이 소설의 ‘단락’을 상징하기 때문에, ‘Enter’를 누르는 건 줄바꿈처럼 보이지만, 사실 ‘새 단락’을 생성하는 동작이에요.

뮤블의 에디터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요.

  • 동기화적 장점
    • 문서 변경 동기화가 가능하여 인터넷이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클라우드로 십 만 자가 넘는 소설도 안전하게 편집할 수 있어요.
    • 여러 클라이언트 편집, 오류 시 자동 문서 복구 시스템이 충돌을 자동 병합하여 해결할 수 있어요.
  • 단락 단위의 기능 제공
    • 단락 단위로 정보를 부여할 수 있어요. 뮤블에는 대표적으로 작가만 확인 가능한 ‘주석 단락’이 있어요.
    • 단락 단위로 특정 줄 검색이 가능해요.
    • 단락 단위로 구조화되어 있어 줄바꿈 규칙을 내보내기에서 일괄로 조정하거나 바꿀 수 있어요.
    • 독자가 자신이 편한 방식으로 단락 간격을 커스텀할 수 있어요. (뮤블 뷰어 사용 시)
  • 서식 안정성
    • 외부의 서식을 가져올 경우 문서 구조가 깨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요. (예: HTML 기반 RichText 에디터들의 특징)
    • 출판 서식에 맞춰져 있으면서도 웹소설 구조로 쉽게 변환할 수 있어요.
  • 에디터 최적화
    • 기능들이 단락 단위로 변경사항을 감지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어서 문서가 아무리 길어도, 편의 기능의 프로세싱 성능이 거의 떨어지지 않아요.

대표적으로 에피소드 에디터에서는 각 블록이 소설의 ‘단락’을 상징하기 때문에, 뮤블의 기본 동작에서는 줄바꿈을 표현하기 위해 엔터를 두 번 눌러서 ‘빈 단락’을 생성하는 것을 별로 권장하지 않아요. 이는 블록 에디터 관점에서는 문서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고, 문서 최적화 및 동기화에 불필요한 부하를 주기 때문이에요.

대신 에디터 설정하기에서 단락 간격을 조정하고, 내보내기 시에는 줄바꿈 규칙을 설정하는 것을 권장해요.

만약 대사나 묘사를 붙은 줄바꿈으로 쓰고 싶을 때의 뮤블의 권장 조작은 Shift + Enter (단락 내 줄바꿈)를 써서 한 단락 안에 넣는 거예요.

난 그런 거 싫어! 복잡하잖아!

럭키메모장 주제에 뭔 말이 이렇게 많아! 단순한 게 최고야!

하지만, 그런 복잡한 거 알 게 뭘까요. 엔터를 치면 그게 줄바꿈이지 무슨 구조화된 문서를 만들어!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거예요.

이러한 출판용 에디터나 블록 기반 에디터 계열 조작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뮤블은 수동 줄바꿈 관리(/episode-editor/manual-linebreak) 설정을 지원합니다. 이 설정은 첫 뮤블 실행 시 물어보는 옵션이기도 합니다.

뮤블에 접속되지 않아요 / 느려요

뮤블 접속에 문제가 있다면 먼저 업타임 사이트 를 확인해 주세요.

  •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인지 알려주는 실시간 모니터링 사이트이에요.
  • 뮤블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라면 “UP” 상태로 표시돼요.
  • 업타임에 문제가 없다면, 뮤블 자체 문제가 아닐 가능성이 높아요.
  • 뮤블이 업데이트 중일 수도 있어요. 뮤블의 업데이트는 일반적으로 5초 이내로 완료되므로 재시도 하면 접속 가능할 거예요.
  • 업타임이 “UP”인데 접속이 안 된다면 일시적인 네트워크 문제일 수 있습니다. 접속 환경이나 네트워크 상태를 먼저 점검해 주세요.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혹시 LG U+ 통신사이신가요?

LG U+ 통신사를 사용 중이라면, 접속에 제한이 생길 수 있어요.

뮤블은 Cloudflare 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통신사의 망 사용료 이슈로 인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만 트래픽이 일본(주로 후쿠오카)으로 우회해서 접속되고 있어요.

여기에 더해 대한민국의 통신 3사 중 LG U+의 해외망 품질 문제와 겹쳐서 트래픽이 많은 시간대에는 접속이 불안정할 수 있어요. 1.1.1.1 같은 공용 DNS를 사용하면 해당 문제가 대부분 해결 가능해요.

한글(에디터)에 붙여넣으니 행간이 사라져요

한글 에디터 붙여넣기 설정에 따라 내부 처리 방식에서 공용 타입(text/html)보다 뮤블 자체 타입(application/vnd.muvel.pm-slice+html)을 우선으로 채택해버려서 그렇습니다.

뮤블에서 텍스트를 복사한 상태에서 한글 에디터에서 골라 붙이기(Ctrl + Alt + V)를 누른 후, 인터넷 소스를 선택하면 정상적으로 붙여넣을 수 있어요. 서식이 중요하지 않다면 메모장을 거쳐서 붙여넣으셔도 됩니다.

타입라이터가 작동하지 않아요 / 단락 분석 위젯에서 묘사 100%로 나와요

v2.7.9 이전 구 버전 뮤블 기준으로 특정 에디터에서 뮤블로 Ctrl(⌘) + V로 텍스트를 붙여넣을 경우, 모든 내용이 한 단락에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해요.

이로 인해 이전 버전에서 붙여넣기 한 경우 아래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 타입라이터 스크롤 비활성화
  • 단락 분석 위젯이 묘사 100%로 나옴
  • 부분 동기화 불가
  • 자동 줄바꿈 처리 오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trl(⌘) + Shift + V로 붙여넣기를 해주세요. 형식을 유지하지 않고 플레인 텍스트로 붙여넣을 수 있어 위 문제가 방지돼요.

문서가 비정상적인 형식으로 되어 있는지는 뮤블 설정하기 > 조작 > 조판 부호 표시를 활성화하면 확인 가능해요.

  • 정상적인 문서: 부호 표시 시 각 문장의 끝에 가 있고, 단락 내 줄바꿈을 한 경우에만 가 있어요.
  • 비정상적인 문서: 부호 표시 시 각 문장의 끝에 가 없고, 단락 내 줄바꿈이 아닌 모든 줄에 일반 줄바꿈()이 있어요.
    • 전체를 복사한 후 Ctrl(⌘) + Shift + V로 붙여넣으면 정상적인 문서로 변환돼요.

로컬 소설 위치를 옮기니까 뮤블에서 안 보여요

프로젝트 폴더를 옮기면 뮤블이 해당 폴더를 인식하지 못해요.

뮤블이 종료된 상태에서 소설 프로젝트 폴더에 바로 있는 *.muvl 파일을 직접 실행시키거나, 메인에서 뮤블 프로젝트 열기로 해당 muvl 파일을 열어주세요.

서버가 꺼지면 제 작업물에 접근할 수 없나요?

데스크톱 버전에서는 백업 폴더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클라우드 소설의 로컬 백업 경로

    • (Windows)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Local\com.muvel\cloud\[소설 ID] 폴더 안에 로컬 소설이랑 같은 형식으로 저장돼요.
    • (macOS) /Users/<사용자 이름>/Library/Application Support/com.muvel/cloud/[소설 ID]
  • episodes 폴더 내 *.mvle 파일이 에피소드 백업 파일입니다.

  • 만약 어떤 ID가 어떤 소설인지 헷갈린다면 *.muvl 파일을 우클릭 → 메모장 같은 프로그램으로 열기를 선택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v2.7.X 이하 버전에서 클라우드 백업 내 생성된 muvl 파일을 직접 실행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 아래 절차로 백업 에피소드를 로컬 소설로 불러와 작업할 수 있습니다.

  1. 새 로컬 소설 또는 기존의 로컬 소설을 선택합니다.
  2. 새 에피소드파일에서 가져오기 → 백업 파일 내 *.muvl로 끝나는 파일 선택
  3. 해당 백업 에피소드를 로컬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현재 v2.7.9 기준 클라우드의 로컬 자동 백업은 에피소드 문서와 소설 정보에만 적용됩니다. 위키 문서와 메모 내용은 아직 로컬 자동 백업을 지원하지 않아요. 해당 기능은 몇 버전 안에 구현될 예정입니다. 불안하신 분들은 ‘뮤블 프로젝트로 내보내기’ 기능을 통해 주기적으로 프로젝트 전체를 백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복구 프로세스가 조금 복잡한 이유는 원래 이 백업 파일은 현재 개발 중인 클라우드 소설의 오프라인 편집 기능을 위한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차후 추가될 클라우드 소설의 오프라인 편집 기능과, 원하는 경로에 소설을 원하는 형식과 구조로 자동으로 정리해 저장하는 자동 플로터 기능이 개발되면, 위 가이드는 수정될 예정입니다.

클라우드 소설을 로컬 소설로 전환할 수 있나요?

클라우드에 저장되는 ‘비공개’, ‘일부 공개’ 설정으로 소설을 생성한 경우, 저장소 자체가 다르므로 소설 수정 창에서 바로 로컬 소설로 바꿀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래 과정을 통해 로컬 프로젝트 파일로 불러오거나, 소설 전체의 백업이 가능합니다.

  1. 소설 페이지에서 소설 내보내기 > 뮤블 프로젝트로 내보내기를 선택합니다.
  2. 파일을 다운받은 후 zip 압축을 해제합니다.
  3. 폴더 안에 있는 *.muvl 파일을 실행하거나, 뮤블 메인의 ‘뮤블 프로젝트 열기’에서 해당 파일을 선택합니다.

반대로 로컬 소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작업은 아직 완벽히 지원하지 않습니다. 에피소드 한정으로 *.mvle 에피소드 파일을 ‘파일에서 가져오기’를 통해 클라우드 소설로 옮길 수 있습니다.

노벨피아 글자 수 프리셋인데 글자 수가 달라요

이는 뮤블 문제보다는, 노벨피아 플랫폼 자체의 기호 글자 수 계산 방식 버그 때문에 그렇습니다.

  • &: 5자로 계산
  • >, <: 4자로 계산
  • "은 0자, 는 1자로 계산

그 외 특수문자 제외 처리나 개수 계산 방식이 일관되지 않아요. 또는 HTML 서식 상태, 삽화 여부에 따라 글자 수가 달라지는 버그도 있어요. 뮤블의 노벨피아 프리셋은 ‘공백 제외’, ‘문장부호 제외(유니코드 국제 표준 문장부호)‘로 구성되어 있어요.

뮤블은 특수문자 제외 기능에 노벨피아의 글자 세기 이슈를 재현하는 기능을 구현할 예정이 없습니다. 해당 문제는 노벨피아 고객센터 에 문의해주세요.

v2.6.1 이하 뮤블로 다운그레이드할 경우 클라우드 소설이 열리지 않아요.

뮤블의 비상 백업 시스템의 indexeddb version tag가 12로 올라가면서 기존 11 버전을 사용하던 에피소드 편집기가 작동하지 않게 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해당 증상은 v2.7.0 이상 버전의 에피소드 또는 위키 편집기를 한 번이라도 실행한 경우 발생하며, 만약 v2.6.1 이하 버전이 필요한 경우 아래 방식을 따라가면 됩니다.

indexeddb 이슈

  1. v2.6.1 이하 뮤블 실행
  2. F12로 개발자 도구 띄우기
  3. Application(안 보일 경우 창 늘리기) > Indexeddb > muvel > Delete Database

해당 DB는 오프라인 편집(또는 뮤블 서버 에러 상태) 후 뮤블 종료 시 자동 복구를 위한 저장소이기 때문에 복구해야 할 오프라인 편집 사항이 없는 경우 위처럼 대응해도 무방합니다.

AI 평가 기능을 사용하면 제 작품이 AI 학습에 사용되나요?

Google Gemini의 서비스 약관 에 따라 작가님의 작품들은 Google 제품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지 않아요.

Last updated on